이런 헛소리 하기 전에, 나는 부산 사람이란걸 먼저 밝힌다.

즉 '내' 와 '네'를 구별 할 수 없는 (.. 혹은 구별 하기 힘든) 부산 사람이란 말이지.

("갱상도" 애들은 ㅐ 와 ㅔ 를 구별할 수 없다.)

 

...

 

송창식 선생님께서

"푸르른 날"을 열창하고 계신다.

 

What if, 만약.

 

내가 죽고서 "니"가 산다면 

"니"가 죽고서 내가 산다면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라고 외치신다면 얼마나 우울할 것인가.

이거 뭐 멋 모르는 중/고등학생의 노래도 아니고.

 

다행히 음악파일을 들어보면, 정.확.히 발음하고 계신다.

 

 

사전에 의하면,

니1
【명사】 <옛> 이. 치아.
니2
【명사】 <옛> 벼.
니3
【명사】 <옛> 『충』 이.
니4
【조사】 받침 없는 체언에 붙어, 여러 사물을 열거할 때 쓰는 접속 조사.
¶ 시골에서 사과∼ 복숭아∼ 배∼ 잔뜩 가져왔다. [참고]이니.
―니1
【어미】 ‘이다’ 또는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에 붙는 연결 어미.
1.  앞으로 하려는 말에 대하여 원인이 되는 사유를 나타냄.
¶ 어려운 고비(이)∼ 더욱 분발하라/ 봄이 되∼ 꽃이 핀다.
2.  어떠한 사실을 말할 때 씀.
¶ 서울역에 도착하∼ 저녁 일곱 시였다/ 열차에서 내린 것이 새벽 3시∼, 거리에는 사람의 그림자도 없었다. [참고]―으니1.
―니2
【어미】 ‘―냐’·‘―느냐’를 보다 더 친밀하고 부드럽게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무엇을 하∼/ 어디 가∼/ 오늘이 무슨 날이∼. [참고]―으니3.
―니3
【어미】 ‘이다’ 또는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에 붙어, 하게할 자리에 진리나 으레 있을 사실을 말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습관적으로 도둑질하는 것은 나쁘∼/ 먹게나, 시장이 반찬이∼. [참고]―으니4.
―니4
【어미】 ‘이다’ 또는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에 붙어, ‘이렇기도 하고 저렇기도 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병신이∼ 바보∼ 욕만 한다/ 내것이∼ 네것이∼ 구별하지 말고 사용하자/ 나쁘∼ 비싸∼ 하고 트집을 잡다. [참고]―으니2·―느니.
―니5
【어미】 <옛> ―냐.

 

"니" 란 말에는 어디에도 2인칭을 지칭하는 뜻이 없단 말이다.

"너의" 의 약어가 "니" 가 아니란 말이지.

"사귀어"의 약어가 "사겨" 가 될 수 없듯이 말이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니" 라는 사투리는 정말로 광범하게 쓰여서

이게 잘못되었는지 지적하는 사람도 별로 없게 되었다.

 

 

 

옆에 있는 관기형이 아이비 노래를 틀었는데,

한참 열창하다가 (그럴거면)

"나의 가슴은 내 눈물은 자꾸 편만 들어"

 

에서 확 "깨" 버렸다..

 

 

젠장.

물론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니" 라고도 쓸 수 있겠지만,

온 감정을 담아 열창하는데까지 저렇게 써야 했을까.

 

딱.

듣기싫다.

 

 

미터 만큼이나.

‡centimeter 【영국】 ─tre [séntəmìːtər] n.
센티미터(略: ㎝; 1미터의 100분의 1).

 

 

도대체 '-ti-' 발음이 어떻게 하면 '치' 발음이 되는지.

알 수가 없다.

이건 어륀지 보다 더 어려운 문제다.

차라리 "센미터" 라고 하면 알아듣겠다.

 

센티 미터가 센티가 되었고,

센티는 다시 센치가 되었다.

그리고 센치는 센찌가 되었다.

... 100센찌 = 1미터가 되었다.

 

...

브릴리언트!

 

따악 듣기 싫은 잘못된 말 두개를 꼽으라면

"센치" 와 "니" 가 될 것이다.

...

 

라고 하면..

아무래도 여친님하가 "니 잘났다" 라고 하겠지.

 

...

걍 이렇게 살까..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우병과 로또복권.  (0) 2008.06.02
아쉽다..  (0) 2008.06.02
언제까지 나라님, 나랏님 인가?  (2) 2008.05.01
간단한 수학문제.  (0) 2008.04.22
China의 올림픽 보이콧 역사  (0) 2008.04.21
블로그 이미지

J.Min

본진은 페이스북입니다만 긴 호흡의 글을 쓸 필요가 생기네요.

,

민중 국어 사전에 따르면

 

나라―님
【명사】 임금.

 

나라님은 "임금" 으로 정의되어 있다.

임금은 다시

 

임ː금
【명사】 군주 국가의 원수. 왕.

 

로 정의 할 수 있으며, 즉 왕이다.

 

여기서의 임금, 왕, 나라님은 모두

"군은 아버지요, 신하는 어머니요, 백성은 아이니
꾸물거리는 백성 먹여 살려라
아으 임금처럼, 신하처럼, 백성처럼 하면 나라가 평안하리이다"

의 군을 동일하게 지칭한다.

 

이게 뭥미..?

 

조낸 "정치논리" 냄새 풀풀 풍기는 발언을 하시자면

나랏님이란 표현은 우리를 먹여주고 입혀주고 재워주는 존재에 대한 기대감이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는 -혹은 그,그녀는- 자기를 먹여주고 입혀주고 재워주기를 "바란다" 고 볼 수 있다.

 

성숙한 "시민" 으로서의 자각을 가진자는 절대 저런 발언을 할 수 없다.

오히려, 민주주의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투표를 통해 자기의 권리를 주장하며, 선출된 정치인에 대한 책임을 나눠 져야 한다고 본다.

정치에 끌려다니는 "백성"이 아니라 "시민" 으로서 정치에 대한 주체가 되어야 한다.

 

민주주의의 베이스에는 하나의 사실이 자리잡고 있다.

그것은 민주주의를 경영하는 국민들이 "시민"으로서의 자각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나 와 함께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넓게 볼 줄 알는 "시민"으로서의 자각 말이지.

그렇지 않을 경우 정치는 포퓰리즘을 향하게 된다. 이른바 "중우정치" 란 말이지.

 

 

우울하다.

아직도 우리의 시민의식은 멀었는가 보다.

"나랏님" 이란 말 쓰지 말자.

우리는 군주국가에 살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헌법에 의거,

우리나라의 모든 정부 권력은 (나를 포함한)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쉽다..  (0) 2008.06.02
이런 사투리 정말 듣기 싫다.  (2) 2008.05.20
간단한 수학문제.  (0) 2008.04.22
China의 올림픽 보이콧 역사  (0) 2008.04.21
이런 글을 쓰지 말자  (0) 2008.03.23
블로그 이미지

J.Min

본진은 페이스북입니다만 긴 호흡의 글을 쓸 필요가 생기네요.

,
luztain House 에서 본 문제..

"
어떤 학교의 복도에는 열려있는 1,000개의 창문이 있다. 학생 역시 1,000명이 있다.

자 이제 학생들이 삽질을 시작한다.
닫혀있는 창문은 열고, 열려있는 창문은 닫고 간다.

1번째 학생은 열려있는 모든 창문을 닫고 간다.

2번째 학생은 2의 배수의 창문을 모두 건드린다.
3번째 학생은 3의 배수의 창문을 모두 건드린다.
…………
1000번째 학생은 1000의 배수의 창문을 모두 건드린다.



Q. 열려있는 창문의 갯수는?
"


요약하자면, N이란 숫자가 짝수개의 약수를 가지면 문이 열려있다는 얘깁니다마나는.

먼저 소수부터 생각해 보죠.

소수는 1과 자신 이외에는 약수를 가지지 않는 수 입니다.
따라서 2개의 약수를 가지죠.

여기서부터 문제를 풀어갑시다.

문제는 합성수 인데,
합성수는 소수의 곱으로 이루어 지지요.

합성수는 a^n + b^m + c^l ... z^r 로 이루어 지고, a,b,c 는 모두 소수입니다.
그리고 약수의 갯수 = (n+1)*(m+1)*...*(r*1)입니다.
해당사항은 아마 중학교 or 초등학교 약수의 갯수~ 시간에 배우는 공식인걸로 압니다.

...
(굳이 해당 공식에 대해 유도를 하자면,
a가 n회 존재할 경우의 수 + a^0=1 인 경우의 수에 각각의 경우의 수를 전부 곱하는 겁니다)

...
홀수 * 홀수 = 홀수 &amp;lt;- 창문이 닫혀 있음
짝수 * 짝수 = 짝수 &amp;lt;- 창문이 열려 있음
짝수 * 홀수 = 짝수 &amp;lt;- 창문이 열려 있음

이므로

n+1, m+1, r+1....은 모두 홀수여야 창문이 닫혀있는 형태가 되구요.
따라서 n,m,r은 모두 짝수 여야 합니다. (0 포함)

n.m,r...이 모두 짝수일려면,
동일한 수를 두번 곱하는 것이므로 제곱수 (1,4,9,16,25... )등이 있구요.

1000이하의 최대 제곱수는.. 31^31 = 931이니깐.

1000 - 31 = 969개가 열려있게 되겠군요.



...
아직 머리가 죽지 않았어~
블로그 이미지

J.Min

본진은 페이스북입니다만 긴 호흡의 글을 쓸 필요가 생기네요.

,
에.. 티벳독립운동 유혈/과잉진압 문제때문에
인터넷이 시끌시끌 한 가운데, 중국의 말과 행동을 비웃는 글을 봤습니다.

하여 찾아봤지요.

출처는 Wikipedia입니다.


  • 1956년 대만과의 문제로 올림픽 보이콧. (정확히는 "포기"했음)
[Less than two weeks before the November 22 opening ceremon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lso pulled out because the Republic of China had been allowed to compete under the name "Formosa".]

  • 1960년 이건 확인할 길이 없네요. 불참했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 1964년 역시 확인할 길은 없습니다만, 불참했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경악스러운 것은 올림픽 기간동안 중국은 첫번째 핵실험을 했다는거죠.
[Unfortunately for Japan, several big international events took more attention during the Olympics, including the sudden removal of Nikita Khrushchev and the first nuclear test in China.]

  • 1968년 역시 불참입니다. 보이콧인지는 모르겠군요.
  • 1972년 역시 불참입니다. 보이콧인지는 모르겠군요.
  • 1976년 대만과의 문제로 올림픽 보이콧.
[Both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oycotted the games over issues concerning the legitimacy of each other. In November 1976,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recognize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the sole legal representative, with Taiwan as par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1980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하여 보이콧

[Though the Games have aimed to be an arena free of politics, the 1979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spurred United States President Jimmy Carter to issue an ultimatum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boycott the Moscow Olympics if Soviet troops had not withdrawn from the country by 12:01 A.M. Eastern Standard Time on February 20, 1980; the official announcement confirming the boycott was made on March 21.

The United States was joined in the boycott by some other populous countries - including Japan, West Germany, China, the Philippines and Canada. Some of these countries competed at the Olympic Boycott Games at Philadelphia. Notably,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Greece supported the boycott but allowed their athletes to participate if they wished (the U.S. did not).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sent a much smaller delegation of athletes than usual.]



총 3번의 보이콧과 네번의 "불참" 이 있습니다.
이 "불참" 이 의도적인 "불참" 인지 아니면 여타 사정이 있어서인지는 모르지만,
국제무대로 나타난 후 굉장히 많은 올림픽을 빼 먹었군요.


2008년 북경 올림픽 -「올림픽과 정치를 연결시키지 말아라


라고 큰소리칠 입장은 아닌것 같습니다.
원래 Give and Take아닙니까.. ㅎㅎ

이렇게 국제무대에 나타나야 될 줄 알았겠습니까?
(중국 펀드에 돈을 대고 있어서 불안불안 합니다만..--a;; )
블로그 이미지

J.Min

본진은 페이스북입니다만 긴 호흡의 글을 쓸 필요가 생기네요.

,

평소와 같이 Allblog.Net을 통해 블로그를 돌아다니다가, "이상한" 리플을 발견하였다.

이 사람은 도대체 무엇을 쓰고 싶어한 것일까.

이 사람의 정치적인 의도를 빼고 "국어문법" 및 "사실" 적인 면에서 글을 감상해 보도록 하자.

 

"이상하게 외틀어진 사람들이 많다. 그런글을 읽고있자면 이런사람들은 뭘먹고살까?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 위글은. 아마도. 2MB 집권으로 밥벌이가 신통치 않아질것 같은 생각이든다. 작은정부가 예산을 많이 관리할것같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발효음식이 좋다는건 그 발효의 과정을 통해서 맛의 풍미와 깊이가 들기 때문이다. 서양 맛깔 소스들이 감칠맛이 좋아도 발효식품맛과는 사뭇 다르다. 사람도 댓꾸하기 귀찮게 말이 많은 사람이 많다. 말의 언어들이 다양하고 때론 감칠맛도 나지만 발효된 인성이 없으면 화학조미료같아 먹기 거슬린다. 그런데도 왜 맛도 안보고 왜 맛에관한 평가도 할줄 모르면서 안쳐먹냐하면 참 난감해 진다. 일일이 댓꾸하고 설명하자면 시간이 많이들고 또 말로써 말이많아지기 때문이다. 내가 보기엔 2mb야말로 군소리 할 시간이 없고 주뎅이로 살아오지 않아서 댓꾸가 없을 뿐 그가 취임후에 진행하는 모든것이 잘 방향설정되어있고 그러다 보니 정치 모리배들이 신경써야할 잡스런 일에 일일이 손 쓰고 싶지도않고. 뚜렷이 보이는 저편의 풍경을 체색함에 있어 온갖 하루살이들의 날치는분탕질이 어이없을 뿐이다. 덜 떨어진 시비에 휘말리고 말고는 이제껏 기대보다 더 잘해준 국민들이 알아서 판단해줄거고. 혼자 똑똑한 잡소리들이 세상을 바꾼다고 생각하면서 점점더 스스로 부끄러워 지겠지. 만일 국민들이 같이 덜 떨어졌다면 방법이 없다는걸 알기 때문이고 그렇다면 국민에게 메달릴 필요도 없다. 왜냐하면 고졸짜리 떼서리 처럼 목숨걸고 권력분탕질에 메달리는 망나니가 아니고 오직 국민을 위한 몸짓이며, 그뻐할 성취의 갈망에 국민이 따라오지 않아도, 행위로써의 가치가 아닌 주제로써의 가치는 변함이 없기때문이기도 하다."

 

이해가 오는가?

그럼 고등학교때 하던 것처럼 하나하나 첨삭해 보도록 하자.

 

 

이상하게 외틀어진 사람들이 많다. 
->OK. 맘에 들지는 않지만 문제 제기를 했다.

그런글을 읽고있자면 이런사람들은 뭘먹고살까?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
->외틀어진 사람을 말하다가 갑자기 "그런글"이 나온다. "그런글" 과 "이런 사람"은 무슨관계인가?
->그리고 외틀어진 것과 먹고사는것이 무슨 관계일까?

위글은.
->주어 + 조사 = 끝? 뭐가 생략된거지? 내 국어실력으로는 알 수가 없다.

아마도.
-> 이 아마도는 어디에 걸치는 것인가? 위글은 에 걸치는 것인가 다음 문장에 걸치는 것인가.
-> "아마도 위글은"..?? 어떻다는 것이지? 이상하다.
-> 다음 문장을 수식하려니 마침표가 걸린다. 쉼표가 되어야지.

2MB 집권으로 밥벌이가 신통치 않아질것 같은 생각이든다.
-> 누가? 외틀어진 사람들이? 아니면 글쓴이가? 주어를 찾을수도, 유추할 수도 없다.

작은정부가 예산을 많이 관리할것같기 때문이다.
-> 작은 정부가 예산을 많이 관리 하는 것과 밥벌이가 신통찮은 것은 무슨 인과 관계가 성립하나?
-> 작은 정부가 의미하는 것은 규제 완화등의 자유주의 조치를 의미하는데 그것과 밥벌이랑 도대체 무슨 관계인가?


우리나라 발효음식이 좋다는건 그 발효의 과정을 통해서 맛의 풍미와 깊이가 들기 때문이다.
-> 갑자기 새로운 발화가 나온다. 문단은 필히 여기서 나누어 주어야 한다.
-> 발효음식의 장점은 맛의 풍미와 깊이 보다는, 건강에 도움되는 측면과 저장의 편리함이 더 크다.
-> 끌여다 붙이기 위한 잘못된 예시라고 보여진다.

서양 맛깔 소스들이 감칠맛이 좋아도 발효식품맛과는 사뭇 다르다.
-> 맛깔 소스는 말이 안된다. 맛깔스러운 소스 라고 해야한다.
-> 소스와 식품 자체는 비교카테고리가 다르다.
-> 맛깔 소스라기 보다는 서양 음식이라고 해야 되지 않을까?
-> 서양음식과 비교를 하려면 동양의 음식으로 대구를 시켜야 한다.
-> 이건 정말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 지 모르겠다.
-> 또한 감칠맛은 서양의 소스들이 주안점을 두고 개발하지 않은 맛이다. 오로지 동양인 만이 구별할 수 있다. 비교 대상이 틀렸다.

사람도 댓꾸하기 귀찮게 말이 많은 사람이 많다.
-> 말이 많은 사람과 서양 맛깔 소스가 같다고 생각하는가?
-> 글쓴이는 말이 많은 사람과 여러 다양한 맛이 나는 소스를 비교 하고 싶었는 것 같기는 하다.
-> '댓꾸' 라는 말은 없다. 대꾸 가 맞다.
-> 바로 상위 문장과 짝을 이루기 위해서는 "많다" 가 아니라 "있다" 를 사용하여야 한다.

말의 언어들이 다양하고 때론 감칠맛도 나지만 발효된 인성이 없으면 화학조미료같아 먹기 거슬린다.
-> 다시 처음 서양 맛깔 소스의 비유로 돌아왔다.  내용상 OK.
-> "말의 언어" 는 도대체 뭐냐? "버스의 교통수단이 다양하고~"라는 문장과 같잖아.
-> 아무리 표현을 화려하게 할지라도, 그 말이 심사숙고 후 나온 것이 아니라면 화학조미료와 같이 거슬린다. 정도가 옳지 않을까?

그런데도 왜 맛도 안보고 왜 맛에관한 평가도 할줄 모르면서 안쳐먹냐하면 참 난감해 진다.
-> 갑자기 논점을 건너뛰었다. 도대체 이 문장이 왜 들어가 있는가?
-> 앞에서 맛의 깊이가 없으면 화학조미료와 같이 거슬리는다는 말을 했으므로 따라서 화려한 맛의 조미료지만 이건 아니다 라고 하면 OK겠지만.
-> 도대체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이지만, 굳이 해석을 해보자면; "안쳐먹냐"는 말은 의문문이다. 즉, 맛을 안보고 맛에대한 평가도 할줄 모르는 사람이 왜 다른사람한테 너는 왜 안 먹니?라고 묻는게 난감하다는거다.
-> 이건 정말 우리집 며느리도 모를 문장이다.--a;;

일일이 댓꾸하고 설명하자면 시간이 많이들고 또 말로써 말이많아지기 때문이다.
-> 윗 문장의 뒷받침 문장이다.
-> 또다시 댓꾸는 틀렸다. --a;;
-> 앞의 문장을 도저히 알아들을 수 없기 때문에, 그냥 본 문장을 뒷받침문장이 아니라 주장문장으로 보는편이 낫겠다.
-> "일일히 대꾸하고 설명하자면 시간이 많이들 뿐더러, 설명을 하기 위해서 또다시 말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도가 낫겠군.

내가 보기엔 2mb야말로 군소리 할 시간이 없고 주뎅이로 살아오지 않아서 댓꾸가 없을 뿐 그가 취임후에 진행하는 모든것이 잘 방향설정되어있고 그러다 보니 정치 모리배들이 신경써야할 잡스런 일에 일일이 손 쓰고 싶지도않고. 뚜렷이 보이는 저편의 풍경을 체색함에 있어 온갖 하루살이들의 날치는분탕질이 어이없을 뿐이다.
-> 문장을 이렇게 길게 길게 쓰면 유식해 보일까? 전혀 아니다. 모든 논문은 어린아이도 알아 들을 수 있도록 짧게 짧게 써야한다.
-> 내가 보기엔 2mb이야 말로 군소리 할 시간이 없고 주둥이로 살아오지 않아서 대꾸가 없을 뿐이다. 그가 취임후에 진행하는 모든 것의 방향이 잘 설정되어 있다보니 정치 모리배들이 신경써야할 잡스런 일에 일일이 손 쓰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뚜렷이 보이는 저편의 풍경을 채색하는데 방해되는 온갖 하루살이들의 날뛰는 분탕질이 어이없을 수도 있다.
-> 주어를 알 수가 없다. 주어가 글쓴이 인지, 2mb인지 도저히 알 길도 없을 뿐더러 내용도 글쓴이와 2mb를 왔다갔다 하면서 알 수 없는 글을 써 제끼고 있다.
-> 잡스런 일에 일일이 신경쓰는 주체는 글쓴이 인가 아니면 2mb인가?
-> 하루살이들의 날뛰는 분탕질에 어이없어 하는 주체는 글쓴이 인가 아니면 2mb인가?

덜 떨어진 시비에 휘말리고 말고는 이제껏 기대보다 더 잘해준 국민들이 알아서 판단해줄거고.
-> 국민이 주체가 되어 판단하면 덜 떨어질 시비에 휘말리게 되는가?
-> 국민들의 판단에 따라 덜 떨어진 시비에 휘말리고 말고를 2mb가 결정할 거란 얘긴가?
-> 주장 A

혼자 똑똑한 잡소리들이 세상을 바꾼다고 생각하면서 점점더 스스로 부끄러워 지겠지.
-> 이 문장은 또 왜 붙어 있는거지?
-> 주장 B 이렇게 두개의 주장을 동시에 하는것인가?

만일 국민들이 같이 덜 떨어졌다면 방법이 없다는걸 알기 때문이고 그렇다면 국민에게 메달릴 필요도 없다.
-> 무슨 방법이 없다는 건데? 뭘 할 방법이 없다는건데? 도대체 뭘 하기 위해 국민에게 누가 매달린다는거지?
-> 주체가 누구냐? 2mb이냐? 아니면 혼자 똑똑한 잡소리냐?
-> 도저히 알 수가 없는 방향으로 글이 흐르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고졸짜리 떼서리 처럼 목숨걸고 권력분탕질에 메달리는 망나니가 아니고 오직 국민을 위한 몸짓이며, 그뻐할 성취의 갈망에 국민이 따라오지 않아도, 행위로써의 가치가 아닌 주제로써의 가치는 변함이 없기때문이기도 하다.
-> 도저히 "떼서리" 란 말은 무슨말인지 모르겠다.
-> 다시 생략된 주어를 이제 찾을 수 있다. 아마도 2mb 일것이다.
-> 권력 분탕질에 매달리는 망나니와 국민을 위한 몸짓은 도저히 대구 될 수 없다.
-> 기뻐할 성취의 갈망에 국민들이 따라온다???
-> 행위로서의 가치와 주제로서의 가치가 대구가 되는가? 목적으로서의 가치 / 주제로서의 가치가 맞지 않나?

 

 

대충 보면서 글을 훑어 내려갔는데,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다.

중학생 글을 읽어도 이것보다 쉬울 것이고, 의미론에 대한 글을 읽어도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런 글만 보면 내가 난독증에 걸린 것 같은 느낌이 들고, 내가 바보가 된 느낌이 든다.

분명히 한국어로 써 놨는데 왜 나는 알아듣지 못하는 걸까? 라는 느낌이겠지.

이렇게 어렵게 문장을 꼬고 변형시키면 도대체 누가 읽으라는 것일까.

다른 사람 홈페이지에다가 이렇게 리플을 달아놓으면 이 사람은 의사소통의 의지가 있는 것일까? 아니면 자기 감정을 그냥 배설한 것일까.

 

어려운 세상이다.

누가 내가 첨삭해 놓은걸 좀 비판하고, 저 글을 알아듣기 쉽게 좀 고쳐줬으면 좋겠다.

아직도 나는 저분이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지 정확하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

OTL

블로그 이미지

J.Min

본진은 페이스북입니다만 긴 호흡의 글을 쓸 필요가 생기네요.

,